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양극접합트랜지스터3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회로] 양극 접합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회로 양극 접합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회로 양극 접합트랜지스터를 증폭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활동영역(active mode, 활동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해야 한다. *******참고******* 1. 두 접합 모두 순바이어스를 하는 경우 (포화모드) 2. 두 접합 모두 역바이어스를 하는 경우 (차단모드) 3, 4. 하나를 순바이어스, 다른 하나는 역바이어스를 하는 경우 (활동, 역활동 모드) V_EB : 에미터 - 베이스 전압 V_CB : 베이스 - 콜렉터 전압 ****************** 이에 따라 베이스-에미터 접합은 순바이어스, 베이스-콜렉터 접합은 역바이어스로 dc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실리콘으로 만든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에는 0.7V 이상의 전압이 주어져야 트랜지스터가 on 상.. 2022. 4. 10.
[트랜지스터의 특성] 양극 접합 트랜지스터 3 전류-전압 특성 전류-전압 특성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은 입력 부분과 출력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입력 부분은 다이오드의 특성과 동일하므로, 이제 출력 특성을 공부해보자. pnp 트랜지스터의 공통베이스 회로에서의 전류-전압 특성 그림이다. 베이스(n), 에미터 & 콜렉터 (p) 공통베이스 회로에서 입력전류는 에미터 전류(I_E) 이고 출력전류는 콜렉터 전류(I_C)이다. V_BC > 0 인 활동모드에서는 이전 글에서 보았듯이 I_C ≒ I_E 이고, 이 콜렉터 전류는 V_BC에 거의 무관하다. 반면에 V_BC < 0 가 되면 베이스-콜렉터는 순바이어스가 되므로 트랜지스터는 포화모드가 된다. 이렇게 베이스-콜렉터가 순바이어스 됨으로써 콜렉터(p)에서 베이스(n)로 정공이 확산될 수 있다. 이 정공의 확산은 에미터에.. 2022. 3. 29.
[트랜지스터의 특성] 양극 접합 트랜지스터 2 전류 증폭률 전류 증폭률 양극 접합트랜지스터에는 3개의 단자가 있는데, 이를 증폭기에 사용할 경우 입력과 출력에 2개의 단자가 필요하므로 결국 하나는 입력과 출력에 공통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세가지의 연결이 가능한데 즉, 공통베이스 / 공통에미터 / 공통콜렉터 회로가 있을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공통에미터 회로이고 가장 드물게 사용되는 것이 공통콜렉터 회로이다. pnp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공통베이스 회로가 주어져 있다. 활동모드에서는 에미터-베이스는 순바이어스이고, 베이스-콜렉터는 역바이어스이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3개의 전류와 3개의 전압이 있는데, Kirchhoff 법칙(키르히호프 법칙)에서 아래 식의 관계가 만족된다. 위의 전류의 식은 npn 트랜지스터 회로에서도 그대로 만족된.. 2022.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