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회로공부5

[트랜지스터 증폭기 회로] JFET를 이용한 소신호(small signal) 증폭기 - 공통 소스 증폭기 2 JFET를 이용한 증폭기는 공통으로 사용하는 단자에 따라 공통 소스, 공통 게이트, 공통 드레인 증폭회로가 있다. 공통 소스 증폭기는 전압증폭기(voltage amplifier)로 사용되고 있다. 게이트 단자로 입력신호가 들어가고 드레인 단자로 출력신호가 나온다. 소스 단자는 공통(common, 접지 또는 전원연결) 으로 사용한다. 공통 소스 증폭기(common source; CS) 1. 자체 바이어스 회로 공통 소스 증폭기(self bias) (이전 글 참고) 2. 전압나누기 바이어스 회로 공통 소스 증폭기 전압나누기 바이어스 회로로 바이어싱 된 공통 소스 증폭기의 회로이다. 공통 소스 증폭기에서는 입력신호는 게이트로 들어가고, 출력은 드레인을 통해 나온다. 소스 저항 옆에 C_S는 우회 축전기이다. .. 2022. 5. 4.
[트랜지스터 증폭기 회로] JFET를 이용한 소신호(small signal) 증폭기 - 공통 소스 증폭기 1 JFET를 이용한 소신호(small signal) 증폭기 JFET를 이용한 증폭기는 공통으로 사용하는 단자에 따라 공통 소스, 공통 게이트, 공통 드레인 증폭회로가 있다. 공통 소스 증폭기는 전압증폭기(voltage amplifier)로 사용되고 있다. 게이트 단자로 입력신호가 들어가고 드레인 단자로 출력신호가 나온다. 소스 단자는 공통(common, 접지 또는 전원연결) 으로 사용한다. 공통 게이트 증폭기에서는 소스 단자로 입력신호가 들어가고 드레인 단자로 출력신호가 나온다. 게이트는 공통으로 사용한다. 이 증폭기는 전류 버퍼(current buffer)나 전압 증폭에 사용된다. 증폭기의 전류 증폭률은 1에 가깝다. 공통 드레인 증폭기에서는 게이트 단자로 입력신호가 들어가고 소스 단자로 출력 신호가 나.. 2022. 5. 2.
[트랜지스터 증폭기 회로] 트랜지스터의 소신호 증폭기 - 공통 베이스(base) 증폭기 공통 베이스(common-base; CB) 증폭기 *** 공통 베이스 증폭기에서는 에미터(이미터) 단자로 입력신호가 들어가고 콜렉터 단자로 출력신호가 나온다. 베이스 단자는 공통으로 사용한다. *** 공통 베이스 증폭 회로이다.(pnp 트랜지스터) 위 증폭회로에서 직류전원을 모두 없애고 축전기를 제거한 후 트랜지스터를 소신호 모델로 대체한 그림이다. (회로에서 빨간색으로 둘러싸인 부분) 공통 베이스 증폭기에서는 입력신호는 이미터로 들어가고 출력은 콜렉터를 통해 나온다. 입력 임피던스 Z_i = (R_E || r_e) 이다. 그리고 출력 임피던스는 Z_o = (R_C || r_o) ≒ R_C 로 주어진다. 여기서 입력 임피던스란 신호원의 저항을 제외하고 연결된 총 저항을 말하고, 출력 임피던스란 부하저항을.. 2022. 4. 30.
[트랜지스터 증폭기 회로] 트랜지스터의 소신호 증폭기 - 공통 컬렉터(collector) 증폭기 공통 컬렉터(common-collector; CC) 증폭기 *** 공통 컬렉터 증폭기에서는 베이스 단자로 입력신호가 들어가고 에미터(이미터) 단자로 출력신호가 나온다. 컬렉터 단자는 공통으로 사용된다. 이 증폭기의 전압 증폭률은 1에 가깝다. 베이스 전압의 변화가 에미터(이미터) 전압에 바로 전달되어, 에미터 따라가기 회로(emitter follower)라고도 부른다. *** 공통 컬렉터 증폭회로이다. 위 증폭회로에서 직류전원을 없애고 축전기를 제거한 후 트랜지스터를 소신호 모델로 대체한 그림이다. (회로에서 빨간색으로 둘러싸인 부분) 공통 컬렉터 증폭기에서 입력신호가 베이스 단자로 들어가는 것은 공통 이미터 증폭기와 동일하지만, 출력이 이미터 단자로 나오는 것은 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경우와 다르다. 여.. 2022. 4. 28.
[트랜지스터 증폭기 회로] 트랜지스터의 소신호 모델 - JFET의 소신호 모델 JFET의 소신호(small signal) 모델 ***참고*** [2022.04.22] 트랜지스터 증폭기 회로 - 트랜지스터의 소신호 모델 글 참고 트랜지스터의 증폭회로에서는 트랜지스터에 dc 바이어싱을 한 후 AC 신호를 입력하면 트랜지스터의 작용에 의해 AC 신호가 증폭된다. 이때 AC 신호에 대한 증폭률, 임피던스 등을 계산하려면 소신호에 대한 트랜지스터의 모델(등가회로)이 필요하다. 양극 접합트랜지스터와 FET의 소신호(small signal)에 대한 등가회로, 즉 모델을 공부해보자. 트랜지스터의 DC 바이어싱에 관련된 전류, 전압은 V_BE, I_C와 같이 모두 대문자로 표기한다. AC 신호에 대해서는 v_be, i_c와 같이 소문자로 표현한다. DC와 AC를 같이 언급할 때는 v_BE, i_C.. 2022. 4. 24.
반응형